지도 - 깟띠엔현 (Huyện Cát Tiên)

깟띠엔현 (Huyện Cát Tiên)
깟띠엔현(Huyện Cát Tiên / 縣吉仙)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럼동성의 현이다. 2003년 현재 이 현의 인구는 41,706명이고, 가장 인구가 많은 마족이 있는 역사적인 중심지를 포함한다. 이 현의 면적은 428km2이다. 현도는 깟띠엔 시진에 있다. 현에 있는 깟띠엔 국립공원은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은 중부 고원 지방의 남서쪽에 있다. 북쪽 경계인 닥럽(닥농성), 북서쪽 및 서쪽 경계는 빈프억성 부당이며, 남쪽 경계는 동나이성 떤푸현, 동쪽은 다테와 바오럼현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나이강의 상류 발원지가 깟띠엔현에 있다. 다정강은 깟띠엔현의 북쪽, 남쪽과 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은 중부 고원이 평원으로 사라지면서 작은 산과 언덕으로 구성된다. 평균 고도는 400m이다. 토양은 풍부하고 촉촉하다. 이 지역은 몬순 동안 종종 침수된다.

깟록(Cát Loc)으로 불리는 깟띠엔 국립공원의 북부 지역은 깟띠엔 고고학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이 지역은 2개의 시진(깟띠엔과 푸윽깟)과 9개의 사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의 91%가 농업에 종사한다. 가장 중요한 작물은 콩, 딸기, 밀이다. 버팔로도 이 지역에서 방목되고 있다.

이 현은 원래 다후아이현의 영역으로 1987년에 행정 구역 조정을 거치면서 다후아이현, 다떼현 및 깟띠엔현으로 분할되어 설립되었다.

 
지도 - 깟띠엔현 (Huyện Cát Tiên)
지도
구글 어스 - 지도 - 깟띠엔현
구글 어스
오픈스트리트맵 - 지도 - 깟띠엔현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 깟띠엔현 - Esri.WorldImagery
Esri.WorldImagery
지도 - 깟띠엔현 - Esri.WorldStreetMap
Esri.WorldStreetMap
지도 - 깟띠엔현 - OpenStreetMap.Mapnik
OpenStreetMap.Mapnik
지도 - 깟띠엔현 - OpenStreetMap.HOT
OpenStreetMap.HOT
지도 - 깟띠엔현 - OpenTopoMap
OpenTopoMap
지도 - 깟띠엔현 - CartoDB.Positron
CartoDB.Positron
지도 - 깟띠엔현 - CartoDB.Voyager
CartoDB.Voyager
지도 - 깟띠엔현 - OpenMapSurfer.Roads
OpenMapSurfer.Roads
지도 - 깟띠엔현 - Esri.WorldTopoMap
Esri.WorldTopoMap
지도 - 깟띠엔현 - Stamen.TonerLite
Stamen.TonerLite
나라 - 베트남
베트남의 국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약칭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국가이다. 주요 도시로는 하노이, 호찌민시, 다낭, 하이퐁, 호이안, 사파, 후에 등이 있다. 북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남중국해에 접해 있다. 면적은 약 33만 341km2이다.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최근 인구 통계에서는 9,649만 명으로 조사되어, 세계에서 15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나라의 명칭인 비엣남(Việt Nam)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인 남월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베트남의 수도는 하노이이고,정부형태는 사회주의 공화제이며 공산당이 유일당이다. 고대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 독립 이후 베트남의 왕조들은 지속적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안을 따라 남쪽으로 국경을 넓혀갔으며, 이러한 영토 확장은 청나라와의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는 동안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 지배 기간 동안 계속하여 독립 운동을 벌였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9월 2일 호치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베트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베트남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 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 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 1992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혼합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통화 / 언어  
ISO 통화 상징 유효숫자
VND 베트남 동 (Vietnamese đồng) â‚« 0
ISO 언어
VI 베트남어 (Vietnamese language)
EN 영어 (English language)
ZH 중국어 (Chinese language)
KM 크메르어 (Central Khmer language)
FR 프랑스어 (French language)
동네 - 나라  
  •  라오스 
  •  중화인민공화국 
  •  크메르 공화국